- 고층건물 화재진압 전술 2 목차
1. 진압전술 일반
내화구조(耐火構造) 건물 화재방어에 준하는 일반적인 진압전술 외에 고층건물 화재
진압전술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화점층 및 화점상층의 인명구조와 피난유도를 최우선으로 합니다. 다만, 대규모 건물에서 피난은 모든 사람이 옥외로 대피할 때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피난 시 농연에 의한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피난 지시를 할 것인지, 실내에 잔류하도록 할 것인지는 화재상황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결정합니다. 선착대는 방재센터로 직접 가서 화점층의 요구조자 유무, 소방설비의 작동상황, 자위소방대의 활동상황, 건물내부 구조 등 상황을 확인한다. 현장지휘관은 선착대장 및 관계자로부터 수집한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판단하여 연소저지선, 제연수단 및 소화수단을 결정합니다
두 번째, 다수의 피난자가 있는 경우에는 피난로 확보를 위해 화재진압 활동을 일시 중지하고, 방화문을 폐쇄하여 연기확산 방지조치를 하고, 특별피난계단과 부속실내의 연기를 배출(클리어존, clear zone)합니다. 피난시설의 활용은 옥내특별피난계단, 피난장소는 화재발생 위아래로2~3층 정도 떨어진 지역으로 거주인원을 이동시킵니다.
세 번째, 1차 경계범위는 당해 화재구역의 직상층으로 합니다.. 직상층이 돌파될 우려가 있는 경우는 그 구역 및 그 구역 직상층을 경계범위로 하고 순차적으로 경계범위를 넓히게 됩니다. 네 번째 화점층이 고층인 경우 소방대 진입은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활용하여 화점층을 기점으로 2층 이하까지 이용하고 화점층으로의 진입은 옥내특별피난계단을 활용한
다. 다섯 번째, 발화층이 3층 이상인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연결송수관을 활용합니다.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송수관의 송수구 수에 따라 연결송수관 송수대, 스프링클러 송수대를 지정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보조 펌프도 활용합니다. 내부 소방호스 연장은 소방대 전용 방수구에서 2구 또는 분기하여 연장합니다.. 여섯 번째, 배연수단을 신속하게 결정합니다. 인명검색·화점검색에 있어서 제2차 안전구획으로의 연기오염방지 조치를 하고 피난 완료 시까지 특별피난 계단의 연기오염 방지에 노력합니다. 일곱 번째, 방화구획, 개구부의 방화문 폐쇄상황을 확인합니다 여덟 번째,, 화점을 확인한 시점에서 전진 지휘소를 직하층에 설치하고, 자원대기소를 전진지휘소 아래층에 설치하여 교대인력, 공기호흡 예비용기, 조명기구 등의 기자재를 집중시켜 관리합니다. 아홉 번째, 인명구조를 위해 사다리차 등의 특수차량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외부공격은 지휘관의 통제에 따라 실시합니다. 열 번째, 화점층 내부로 진입한 진압대는 소방전용 방수구를 점령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경계대는 화점의 직상층 계단 또는 직상층에 배치합니다. 진입대의 활동거점은 화점층의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에 확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방수는 직사, 분무방수를 병행하며 과잉방수에 의한 수손피해 방지에 노력합니다. 초고층건물의 경우 소방설비의 규제가 엄격하므로 급격한 연소확대는 적다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따라서 방수에 의한 소화활동을 함부로 성급하게 해서는 안 됩니다.
열한 번째,. 특히, 연소상황을 변화시키는 창의 파괴나 도어의 개방은 신중하게 합니다. 열두번째, 옥상으로 피난한 사람은 상황에 따라 헬리콥터로 구출합니다.
2. 내부진입팀 전술 개념
1) 주거용 고층건물의 소방전술
197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아파트형 고층건물보다 상업적 용도로 사용되는 고층건물이 화재진압 시 발생하는 위험성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 이유로 상업적 용도로 사용되는 고층건물이 연소 확대를 유발하는 공간이 크고 많다는 점, 아파트형 고층건물이 더 작고 더 많은 내화구조의 구획으로 나누어져 는 점, 아파트형 고층건물에 근무하는 경비인력 등 소방안전관리 근무자는 건물을 감시 통제하는 범위와 구체성이 상업용 고층건물보다 높다는 점 등을 들고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플라스터 보드(Plasterboard), 방화유리 등과 같은 신개념 건축자재의 사용으로 외부 벽과 각 층간에 생기는 틈새를 석고보드, 파우더, 테이핑과 페인트칠 등으로 메우고 있어 이와 같은 틈새를 통한 상층부로의 화재확대가 빈발하고 있고, 외부미관용 가연성 금속판의 사용과 각종배관, 전선이 통과하는 공간을 통해서도
화재가 확대하는 사례가 있어 오늘날의 주거용 고층건물에서의 외부 방화벽이 연소확대를 억제하는 데 한계가 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거용 고층건물의 또 다른 화재환경의 변화는 건물유지관리, 경비업무 등의 외부위탁과 전담인력이 감소하는 점이다. 소방대원들은 종종 건물의 담당자를 찾는데 애를 먹는다는데 있습니다. 주거용 고층건물의 복도는 수십 m 이상의 길이에, 복도는 L자 또는 T자 모양이며, 대부분 한쪽 끝이 막힌 막다른 통로인 경우가 많으며, 어떤 곳은 창문이 없는 밀폐
식 구조를 가지고 . 주거용 고층건물에서 복도는 연소되고 있는 호실의 문이 열림과 동시에 열과 연기, 불꽃이 밀려 나오게 됩니다. 복도 부분의 배연이 불가능한 경우 복도는 오븐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연소 중인 호실의 아파트 문이 연소하기 전에, 소방대원들은 복도를 평가한 후 첫번째, 배연이 가능한가? 두번째, 출구는 어디인가? 세번째, 호스연장팀은 준비가 되었는가? 를 확인하고 플래시오버(Flashover) 현상, 역류(Backdraft) 현상, 롤오버(Rollover) 현상 등
돌발 사태를 대비한 후 진입을 시도해야 합니다. 주거용 고층건물 중에 종종, 몇 개의 복도가 상호 연결되어 있고, 그에 따라 배관 연결통로와 같은 공조시스템을 통해 화재가 확대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공조시스템을 폐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와 같은 상황을 발견하면 현장지휘관에게 알려야 합니다. 고층건물 화재 시 치명적 위험성을 가진 농연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6가지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화재발생 층으로부터 2~3층 아래 엘리베이터에서 내려, 계단을 통해 화점층에 진입하고, 유사시 신속한 후퇴상황에 대비하여 계단위치와 대피방향에 대해 사전에 확인합니다
두번째, 복도의 배치구조를 확인합니다. 세번째, 강제 진입 시, 유사시의 긴급대피에 필요한 인근 호실(내화조 구획공간)로의 접근권을 확보합니다. 네번째, 진압팀(관창수)이 화점에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호스연장팀(Attack hose team)
이 호스를 충분히 끌어놓았는지 확인합니다. 다섯번째, 강제진입과 동시에 진입한 출입문을 장악하고 통제합니다. 여섯번째, 열과 연기가 심하지 않은 소형 화재의 경우, 아파트(각 호실) 내부를 인명검색 할 경우 한 명 이상의 대원을 반드시 복도에 배치해 두어야 합니다. 이때, 복도 배치요원은 화재상황이 갑자기 악화될 경우 각 아파트(각 호실) 내부에 있는 인명검색 대원들의 긴급대피를 유도하고, 복도에 연기와 열이 가득 차는 것을 막는 활동 임무를 맡게 됩니다. 고층아파트나 주상복합건축물의 경우 케이블(TV 선, 전선 등)을 천장(Ceiling Panel) 위에 설치하는 경우가 . 이와 같은 천장 공간은 화재가 확대해 나가는 경로가 됩니다. 어떤 경우에, 천장 위 공간(관통구멍)을 통해 화재가 복도 위 천장공간으로 확대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의심되는 경우 복도 천장 판넬을 살짝 밀어 올려보고 천장 지지대가 약화되었거나 농연이 차 면 강제 진입 시 역류(Backdraft) 현상이나 플래시오버(Flashover) 현상 등 이상연소 현상에 대한 대비를 충분히 해야 합니다. 농연통제가 가능한 계단실 부분은 소방대원들의 교대조 투입을 위한 임시 대기공간 기능을 하거나 유사시 요구조자들의 대피로(장소)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계단실 출입문을 닫아 열과 농연이 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합니다. 화점층 복도 내에 있는 소화전 점령이 어려운 경우 직하층 소화전에 호스를 연결하여
상층부로 진입해야 합니다. 이 때 필연적으로 화점층 계단실 출입문을 닫을 수 없게 되어 농연이 계단실로 확대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득실을 따져 지휘관의 판단에 따라 진입여부를 결정하고, 진입할 경우에도 열기와 농연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조치합니다.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 화재 진압 활동 (0) | 2024.03.30 |
---|---|
차량 화재의 종류 (0) | 2024.03.27 |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 전략 (0) | 2024.03.26 |
(초)고층건물 화재 진압 (1) | 2024.03.26 |
고층 건축물 화재 (0) | 2024.03.24 |